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은 코로나 2.5단게에서도 관람 가능합니다
MMCA인터넷에서 두시간 단위로 예약하고 가면되는데 두시간에 다보기엔 시간이 너무 짧습니다.
국림현대미술관 과천관 2층 3층
시대를 보는눈 : 한국 근현대 미술 소장품 상설전
한국미술의 흐름을 시대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해서 15개 섹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층 5-6전시실에서 1900년도~1970년대 까지 2층 3-4전시실에서 1970년대후반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의 사회적
상황에서 미술이 어떻게변모했는지 볼 수 있습니다.
1.전통미술의 변화와 유화의 도입(1900년대초)
채용신은 고종의 어진을 그려 명성을 떨친 인물 화가로 간재 전우(1841-1922)의 70세를 기념하여 1911년에 제작된
초상화입니다.사진을 대체한듯 미세한 실주름까지 극사실적인 표현과 음영을 강조하는 입체효과는 이작품이 상당히
'근대적'으로 보이게하는 요소입니다.
2.관전(官展)미술과 새로운 표현의 출현(1920-1940년대)
3.해방과 전후미술(1940-1950년대)
한국화의 현대화,세계화에 앞장섰던 대표적인 근대화가 이웅노의 꽃장수는 전후의 비참한현실속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한 사실적인 현대화를 많이 제작했다고 합니다.
4.현대미술의 서막 앵포르멜(1960년대)
세계2차대전후의 유럽미술인 앵포르멜 경향의 작품들
5.미술표현 양식의 다양한 실험들(1960년대-1970년대)
일상의 사물 이른바 오브제의 도입에서부터 설치와 행위등 또는 사진과 영상이라는 신매체까지 매우다채로운 실험들이
펼쳐진다.
6. 1970년대 단색조 경향의 작품들 (1970년대)
유신체제에 검열된 신문을 읽을 수 없게 볼펜과 연필로 칠해서 지워나가는 행위인 동시에 저항의 행위
7.새로운 형상 회화의 등장, 한국 극사실회화 (1970년대후반-1980년대) :고영훈의 '돌'과 같은 치밀한묘사를
특징으로 하는 극사실화가 나타났다.
8.1980년대 이후 한국화 :1980년대 지필묵을 사용하는 전통화단에 본격적으로 한국화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9.민중미술(1980년대)
10.1980년대 다양한 소그룹활동 (1980년대)
신영성은 1985년 1월 창립한 미술단체 '난지도'의 멤버중 한명으로 '코리안 드림'은 버려진 선풍기를 수집 이를 인두나 망치 전기톱으로 파괴하여 원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한 오브제 설치작품
11.세계화의 시작
권영우는 1950년대까지 전통적인 동양화를 그리다가 1962년 붓과 먹을 버리고 한지를 찢고 뚫고 붙이는 '종이의 화가"
로 거듭났다.그리기를 배제하고 흰색의 화면에 다양성과 우연성에 집중하였다.
12.개념적태도(1990년대이후) : 완성된 결과물보다는 과정이나 상황 그리고 작품의 개념을 이루는 언어의 역할을
중시한다
개념미술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로 일상의 사물과 상황을 뒤집어서 당연하고 익숙한대상에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씌우는 방식이다.
'라디오 모양의 다리미,다리미 모양의 주전자,주전자 모양의 라디오' 역시 익숙한 사물에대한 에측을 뒤집는다.
13.비판적 현실인식(1990년대말): 정치적이슈나 비판보다 개인의 욕망이나 이슈에 포커스를 맞춘다.
이한열 열사의 장면을 붉은 악마옷을 입고 시청광장에서 2002년 미군 장갑차에 깔려 사망한 여중생의 사고가 월드컵의
열기에 묻혀 사장된 것을 연출한 사진
14.일상과 대중문화(2000년대이후)
15.다원예술과 표현의 확장(2000년대 중반이후) :미술,무용,연극,음악,영화등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들
'영화.문화.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이슈픽 쌤과함께 외계 지적 생명체가 타고온 UFO는 ? (0) | 2020.12.11 |
---|---|
선을 넘는 녀석들 비밀의 벙커 SeMA(Seoul Museum of Art)벙커 (4) | 2020.12.10 |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유강렬과 친구들 : 공예의 재구성 (0) | 2020.12.04 |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신나는 빛깔마당에서 동심을 불러봐요 (2) | 2020.11.30 |
무력에 의해 강제로 체결된 을사늑약의 아픔 중명전 (2) | 2020.11.29 |
댓글